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29 13:32
눈꺼풀 이상 안검외반 (눈꺼풀 겉말림)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4,095  




눈꺼풀 이상 안검외반(눈꺼풀 겉말림)

안검외반(눈꺼풀 겉말림)


1. 개요

안검외반은 눈꺼풀의 골격에 해당하는 눈꺼풀판이 바깥쪽으로 뒤집어진 것을 말하며 그원인은 반흔성, 퇴행성, 마비성, 선천성의 4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안검외반으로 인해 눈동자가 노출이 되면 충혈, 눈물흘림, 눈곱 등이 생길 수 있으며 눈동자가 계속 노출이 되면 각막(검은 동자)이 헐거나 흉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는 수술을 통해 교정될 수 있습니다.

2. 원인

1) 퇴행성

나이가 들면서 눈 주변 근육이 약해지고 눈꺼풀이 늘어지면서 생깁니다.
초기에는 눈꺼풀의 안쪽에만 외반이 나타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진행하여 눈꺼풀의 가운데 부분에서도 외반이 나타나고 마침내 눈꺼풀 전체의 외반으로 진행이 됩니다.

2) 마비성

안면신경 마비로 인해 눈꺼풀을 감는 근육이 마비되어 안검외반과 눈꺼풀이 안 감기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우안의 아래눈꺼풀 안검외반

3. 증상

안검외반 환자들은 보통 자극감, 결막 충혈, 혹은 눈물흘림을 호소하므로 이러한 증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눈물이 나는 것은 눈물 구멍이 눈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져 눈물층에 닿지 못할 뿐 아니라 눈을 감는 기능이 불완전하여 눈물을 코로 내려 보내는 펌프기능이 약하게 되어 눈물이 밖으로 흐릅니다. 눈물흘림은 노인 환자보다 젊은 환자에서 더 불편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안검외반을 일으키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상, 반흔성 피부질환, 얼굴 신경 마비 등의 병력이 있는 지 확인해야 합니다.

안검이 외반되면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으므로 눈물이 자주 마르고 자극감을 호소하며 결막 충혈, 눈물흘림 등이 생기고 눈곱이 자주 끼게 됩니다.

심한 경우 까만 눈동자에 염증과 궤양이 생기고 여기에 새로운 혈관이 자라 들어가게 되면 영구적인 각막 혼탁과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진단

1) 문진

  • 언제 시작되었나요?
  • 눈 주변을 다치거나 수술한 적이 있나요?
  • 안면신경 마비가 있었나요?

2) 눈 검사

  • 시력 검사 및 전안부 검사
  • 안검외반의 위치와 정도를 확인하고 반흔성 여부를 확인합니다.

  • 세극등 검사
  • 동반된 안구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기타 눈의 다른 질환 여부를 확인합니다. 또한 치료 효과를 미리 확인하기 위하여 세극등으로 관찰하면서 환자의 아랫눈꺼풀을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잡아 당겨보아 눈꺼풀테가 안구에 밀착하는지 확인해 봅니다.

5. 치료

1) 보존적 치료

환자가 불가피하게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경우이거나 안검외반의 정도가 약한 경우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 안연고를 자주 투여하고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안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안면신경 마비 환자들은 잘 때 안연고를 눈 안에 넣어 눈을 보호하여야 하며 아래눈꺼풀을 위쪽으로 올린 후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도 임시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2) 수술적 치료

대부분이 성인 환자로 국소마취 하에 수술이 시행됩니다.

반흔성 안검외반의 경우 피부이식술과 눈꺼풀을 수평으로 단축하는 수술이 필요하며 퇴행성 안검외반에서는 약해진 근육을 강화시키고 늘어난 여분의 피부를 절제하고 아래눈꺼풀의 수평 단축술을 시행합니다.

마비성 안검외반에서는 아랫눈꺼풀을 팽팽하게 하는 수술과 함께 눈썹처짐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검외반이 내측이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만 있는 경우 눈꺼풀의 부분절제를 시행하는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좌안 아래눈꺼풀 안검외반 수술 전 및 수술 후 모습

3) 수술 후 합병증

  • 저교정
  • 재발
  • 과교정
  • 흉터, 감염 등

6.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1) 안검외반은 심하지 않은데 눈물이 자주 흐릅니다. 왜 그럴까요?

눈물흘림이 동반되는 원인은 눈물 구멍의 위치 변화와 눈물 펌프 기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내측의 눈물 구멍이 외반된 경우에는 외반의 정도는 약하더라도 눈물흘림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수술 후 주의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실밥을 제거하기 전까지 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햇빛에 의한 색소침착이 가능하므로 모자나 선글라스를 착용합니다. 봉합한 부위가 말라서 딱지가 앉지 않도록 깨끗한 면봉으로 연고를 수시로 발라줍니다. 수술 후 1달간은 눈을 비비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안면마비 환자들은 무엇을 주의해야 하나요?

얼굴 신경이 마비되면 눈이 감기지 않고 안검외반이 생기므로 노출로 인한 눈동자의 손상이 없도록 관리하여야 합니다. 낮에는 인공 누액을 자주 점안하고 자기 전에는 안연고를 눈 안에 듬뿍 도포하도록 합니다. 안대를 하고 자는 것은 까만 눈동자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안과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7 노인성난청 증상 비타민북 11-29 3349
146 노인성난청 진단 비타민북 11-29 3619
145 노인성난청 치료 및 예방 비타민북 11-29 3594
144 노인성난청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4095
143 녹내장 개요 및 원인 비타민북 11-29 3927
142 녹내장 증상 비타민북 11-29 3909
141 녹내장 진단 비타민북 11-29 3916
140 녹내장 치료와 예방 비타민북 11-29 3741
139 녹내장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724
138 눈꺼풀 이상 덧눈꺼풀 비타민북 11-29 3416
137 눈꺼풀 이상 안검내반 (눈꺼풀 속말림) 비타민북 11-29 3368
136 눈꺼풀 이상 안검외반 (눈꺼풀 겉말림) 비타민북 11-29 4096
135 농가진 개요 및 원인 비타민북 11-29 4356
134 농가진 증상 비타민북 11-29 4490
133 농가진 진단 및 치료 비타민북 11-29 4867
 1  2  3  4  5  6  7  8  9  10